- 만65세 이상 국민기초생활수급자, 차상위계층 또는 기초연금수급자로서 유사중복사업 자격에 해당하지 않는 자
- 사회관계 단절, 신체적 기능 저하, 정신적 어려움(인지저하, 우울감 등) 등으로 돌봄이 필요한 노인
- 고독사 및 자살 위험이 높은 노인(특화서비스)
- 직접 서비스가 종료된 이후에도 사후관리가 필요한 대상(사후관리)
안전지원서비스 | 대상자의 가장 기본적인 삶의 전반적인 안전 여부를 확인하는 서비스 (안전·안부확인, 생활안전점검, 정보제공, 말벗) |
사회참여서비스 | 관계망과 역할의 축소로 인한 사회적 분리감을 집단프로그램 등을 통해 사회적 관계성 및 참여의 기회를 지원(사회관계향상 프로그램, 자조모임) |
생활교육서비스 | 생활영역의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신체적, 정신적 기능 유지 및 강화 (신체건강분야, 정신건강분야) |
일상생활지원서비스 | 이동 동행, 식사준비, 청소 등의 일상생활 지원 필요 정도를 점검하여 서비스 제공 (이동활동지원, 가사지원) |
연계 서비스 | 민간의 다양한 자원을 후원이나 자원을 후원이나 자원봉사 등을 통해서 대상자에게 서비스를 연계하여 제공(생활지원연계, 주거개선연계, 건강지원연계, 기타서비스 등) |
심의 및 결정
(시군구)
서비스 신청 접수
(읍면동)
서비스 제공
(수행기관)
대상자 선정조사
및 서비스 상담
(수행기관)
재사정
(수행기관)
서비스
제공계획 수립
(수행기관)
종결 및
사후관리
(수행기관)
일상생활 영위가 어려운 취약노인에게 적절한 돌봄서비스를 제공하여
안정적인 노후생활 보장 및 노인의 기능, 건강 유지를 통한 장기요양
진입을 예방합니다.
어르신의 희망과 등불이 되겠습니다.